Post

AI 서비스를 출시할 "뻔"했던 이야기

AI 서비스를 출시할 “뻔”했던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K-POP 아이돌 업스케일링 AI

제가 출시할 뻔 했던 AI 서비스는 아이돌 사진 업스케일링입니다. 어떻게 이 아이템을 만들게 되었는지는 건너 뛰고, 일단 제가 만들었던 결과물부터 보여드리죠.

왼쪽이 저화질 사진, 그리고 오른 쪽이 제가 만든 AI로 복원한 사진입니다. 더 많은 예시가 궁금하시면 이 깃허브 페이지에서 구경할 수 있습니다.

굉장히 잘 복원하지 않나요? 흐릿하거나 노이즈가 많은 이미지를 정말 깔끔한 얼굴 사진으로 복원해줍니다.

만든 방법

AI로 뭔가를 만들고 싶다면 대부분 두 가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AI 모델과 데이터! 그래서 먼저 데이터를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여자 아이돌 사진을 고화질로 복원을 해야 했기에, 여자 아이돌 고화질 사진이 필요했습니다. 그것도 아주 많이.

그래서 아이돌 사진을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구글에서 한 땀 한 땀 이미지를 다운 받아서 정리했는데요. 그렇다면 한 세월이 걸리겠죠.

트위터에 ‘구드’라고 검색해보시면 아이돌 팬들이 아이돌 사진들을 저장해 놓은 구글 드라이브 링크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저희에게는 데이터셋, 그 자체였죠. 수많은 아이돌 사진들을 무료로 배포해주시는 분들 덕에, ‘구드’를 모아 여자 아이돌 사진 9만 장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는 데이터를 가공할 시간입니다. 대부분의 얼굴 업스케일링 모델들은 정사각형의 얼굴 사진을 사용합니다. 보통 512512 해상도로 복원을 하고요. 그래서 구글의 Mediapipe에서 제공하는 얼굴 탐지 모델로 사진들 안 얼굴들을 모두 찾았습니다. 그러고는 얼굴의 해상도가 512512가 넘는 사진들만 정사각형으로 자른 후, 512*512 해상도로 크기를 조정해 저장했습니다.

이제 2만 장 정도의 사진이 남았는데요, 고작 해상도 하나로는 ‘이 사진이 고화질인가?’를 판단할 수는 없었습니다. 사진의 화질을 한 장 만으로 판단하는 메트릭이 있었지만, 아무래도 사람의 기준이 훨씬 정확하더라고요. 그래서 2만 장을 일일이 검사하여 고화질 아이돌 얼굴 사진 6천여 장을 확보하였습니다. 이 데이터셋은 여러분들도 다운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고품질의 데이터를 확보했으니 9부 능선을 넘었습니다. 이제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는 모델을 확보한 데이터로 fine-tune하면 끝입니다. 업스케일링 계에서는 chatGPT나 Stable Diffusion 같은 슈퍼 스타는 없었지만, HiFaceGAN이라는 좋은 모델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 모델을 확보한 데이터로 fine-tune해서 위에서 보신 놀라운 결과물이 탄생하였습니다.

정리하자면, 데이터 구하기 => 기존 모델 fine-tune을 통해 만족스러운 성능의 AI가 뚝딱 만들어 졌습니다!

이 AI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어떤 서비스를 만들지에 대한 대답은 ‘아이돌 고화질 사진 이미지 스톡’이었습니다. 아이돌 팬들은 고화질의 사진을 원할 것이라는 가설과 함께, 인공지능이 복구한 사진들을 판매하려 했죠. 나름 AI도 있고 (물론 더 발전시켜야 했지만) 랜딩 페이지를 만들어 프리토타이핑을 해서 사업성까지 검증했습니다. 이제 사진을 팔기만 하면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미지 스톡은 시작도 못해보고, 저희 팀은 그대로 아이템을 포기했습니다.

시작도 못한 이유

아이돌 이미지를 판매하려면 소속사와 이야기를 해야 했습니다. 영리 목적이기에 초상권이나 저작권 등 문제 소지가 있으니 말이죠. 그래서 무작정 소속사 문을 두드리며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했는데, 놀랍게도 팀원들 아무도 소속사에 연락을 먼저 하지 않았죠. 당연히 저도 안 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별다른 이유가 없었습니다. 그냥 ‘이미지 스톡’이라는 아이템에 어떤 열정도 애정도 안 생겼습니다. AI를 정말 열심히 만들면서 달려왔는데, 이상하게 사업에 눈이 가지 않았습니다. 많은 시간을 들여가며 이미지 스톡이라는 아이템을 생각해내고 기획했는데, 첫 걸음을 땔 마음이 전혀 들지 않았습니다.

그 때 깨달았습니다. 먼저 내가 내 아이템을 굳게 믿고 정말 좋아해야 하는구나.

물론 모든 사람들이 아이템을 좋아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Unsexy Business 님의 이 메이커 로그를 보면 확실히 알 수 있죠.

근데, 저는 돈 벌려고 사업을 하지 않습니다. 재밌어서, 사업을 좋아해서 합니다. 그래서 내 아이템을 안 좋아하니, 시작할 마음도 각오도 전혀 없더라고요. AI를 만드는 일을 너무 재미있었는데, 사업은 겁이 났습니다. 좋아하지 않으니 시작도 못했습니다.

배운 점

  1. AI 만들기는 재밌다!
  2. 되도록 내가 좋아하는 아이템으로 사업하자.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